브리지텍 주가전망 AI 음성인식, 케이뱅크 관련주 분석

브리지텍 회사는 음성인식 AI 사업과 케이뱅크에 투자하면서 거래량이 상승하고 주가가 오르고 있는 회사입니다. 브리지텍 회사의 재무 분석과 AI 음성인식 사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투자하는 개인의 입장에서는 무엇을 집중해서 보면 좋은지 정리한 글입니다. 회사의 전망과 관련기사에 대해서 정리했으니 브리지텍 투자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브리지텍 사업개요

(1) 브리지텍 음성인식 AI 사업 왜 좋은가?

브리지텍은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회사이며 AI(인공지능), AI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금융권, 통신사업, 음성인식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브리지텍은 AI 음성인식 회사 뉘앙스 커뮤니케이션과 솔루션 제공 파트너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뉘앙스 커뮤니케이션은 과거 아이폰의 시리 기술을 만든 음성인식 업체인데 애플이 AI 음성비서 적용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브리지텍이라는 회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2) 브리지텍 케이뱅크 비상장 주식 300만 주 보유

또한 브리지텍은 케이뱅크 관련 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케이뱅크는 인터넷 은행으로 코로나 이후 비대면이 익숙한 사람들의 선호에 따라 폭발적으로 인기가 많아진 은행입니다. 다트에서 제공하는 브리지텍 분기 보고서에 보면 비상장된 케이뱅크의 주식을 300만 주 보유하고 있습니다. 만약 케이뱅크가 좋은 가격에 상장을 성공한다면 브리지텍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브리지텍 타법인 출자 현황 보러 가기 : 케이뱅크 보유

재무 사항

브리지텍 재무사항 입니다.

매출액은 위의 그림의 1번에서 보면 22년 12월부터 23년 9월까지 매출액도 유지하거나 상승했으며 당기순이익도 유지 또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단기 또는 스윙 투자를 위해서 주식 물량을 실을 수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재무 사항은 부채비율도 약 26%, 유보율도 617%가 넘어서 단기간에 회사가 망한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이러한 재무를 보면 수량을 싫어서 단기 또는 스윙투자가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차트 분석 및 관련 기사

브리지텍 주가전망 입니다.

브리지텍 기업이 단기적 고점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일봉 차트를 보면 1월 23일 2000만 주를 돌파하면서 고가 18%를 기록합니다. 거래량을 보고 판단한다면 1월 17일 또는 1월 18일부터 유의미한 거래량이 발생하고 있으며 단기적인 관점에서 고가로 판단이 됩니다. 또한 장기적 고점 판단을 위해 월봉차트를 보면 23년 1월 16,130원의 고가를 기록한 적이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고점이 아니라고 판단이 됩니다.

(1)어떤 재료에 차트는 반응을 했는가?

그러면 브리지텍이라는 회사가 어떠한 재료에 의해서 주가가 반응을 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월 17일 파이낸셜뉴스에서 케이뱅크 6조 몸값 상장 타진 소식에 브리지텍이 강세라고 보도했습니다. 이때 거래량을 살펴보면 220만 주가 거래되면서 전일 거래량에 비해 700% 증가하게 됩니다.

브리지텍 케이뱅크 관련기사 보러가기

그리고 1월 18일 거래량이 1,000만 주가 거래되면서 고가 18%를 기록합니다. 또한 브리지텍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케이뱅크 관련 주뿐만 아니라 음성 AI 인식 사업도 하고 있어서 AI 테마에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AI 테마는 1월 25일 대한 경제의 기사에서 애플도 생성형 AI 적용 빨라진다는 기사와 함께 브리지텍의 음성인식 AI 사업이 시리를 개발한 뉘앙스 커뮤니케이션의 파트너라는 것이 부각이 되어 테마가 형성됩니다.

브리지텍 음성 AI 관련기사 : 애플도 AI 적용 빨라진다 보러가기

케이뱅크 상장 테마와 음성 AI 테마재료가 부각되면서 1월 23일 2,000만 주가 거래되고 1월 25일에는 1,500만 주가 거래가 되며 각각 고가 18%의 상승을 보이게 됩니다.

브리지텍 투자 전망

현재 브리지텍은 3일선과 5일선이 무너지지 않은 상태에서 조금씩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테마가 무너진다면 단기 고점이므로 하락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의 차트에서도 보면 브리지텍은 케이뱅크 상장 관련기사와 음성 AI 관련 기사가 쏟아지면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고가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시황과 테마를 확인하면서 대응하면 됩니다.

브리지텍을 단타의 관점에서 접근하시는 분들은 이러한 테마가 언제까지 지속되는지를 파악하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장기투자의 관점에서 투자하시는 분들은 케이뱅크 상장이 성공을 기대하는 심리가 커지거나 실질적으로 AI 음성인식 기술로 인해서 회사의 펀더멘탈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기까지 분할매수하면서 기다려야 합니다. 만약 분할매수 하다가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고가를 기록하면 판매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그리고 만약 고가에서 매수를 시작해서 손해를 보고 있는 분이라면 선택지는 손절, 물타기, 리밸런싱의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사실 저는 손절은 좋아하지 않고 초기 구매부터 분할 매수를 하면서 리밸런싱으로 주가를 따라가는 매수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으로 접근한다면 물량을 어느 정도 팔고 저가에서 다시 구매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서 탈출하거나 수익권에 도달하는 방법을 선택할 거 같습니다. 투자는 개인의 판단이며 저의 견해가 투자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Leave a Comment